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경영학


  • 구매하기
  • 장바구니
 

  경영은 경영학의 연구대상을 이루는 것으로, 경영학의 방법론의 상이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새로운 비전과 꿈을 이루기 위한 복지경영을 위해서는 위기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경영학은 경영을 담당하고 있는 경제주체들의 활동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비법을 통하여 연구하는 학문분야라고 할 수 있다. 즉, 경영학은 개별경제주체들의 경제적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학문이다.
  ‘경영’은 오래전부터 실제로 존재하였던 현상이지만 이 현상을 탐구의 대상으로 하는 ‘경영학’은 역사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컨설턴트 램 차란(Ram Charan)은 “기업 경영자들은 지금껏 오로지 성장만 추구해 왔지만 이제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업합병이나 인수의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기업은 앞으로 2년 뒤에 지금보다 오히려 규모가 작아질 게 분명하다”고 말한다.
  경영관리는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 합리성은 조직적 사고와 계산적 사고에 의하여 뒷받침된다. 즉, 사업을 조직화하고, 계수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들 두 가지 사고의 전개로서, 조직적 관리 또는 실체적 관리와 계수적 관리가 성립한다.
  경영관리는 경영상에서의 각종 업무수행이 경영목적을 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시책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경영조직체를 만들어 이를 운영하는 일을 의미한다. 초기의 경영관리는 경영자의 경험과 직관력(直觀力)을 바탕으로 행해졌으나, 경영규모의 확대, 경영내용의 복잡화,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경영관리의 과학화가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경영학의 양대 조류 중 하나인 독일경영학의 경우 17세기, 그리고 다른 또 하나의 조류인 미국경영학은 20세기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경영학은 산업혁명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경영학의 연구영역을 위와 같이 규정하더라도 경영학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경영학에서 다루었던 경영현상은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윤리경영(moral management)이란 경영 활동의 규범적 기준을 사회의 윤리적 가치체계에 두는 경영방식을 뜻하는데, 윤리경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우선 윤리경영의 실천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성과평가 시스템의 정비가 필요하고,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의 질적인 평가지표를 만들어야 한다.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평판, 기업이 지역 사회에 공헌한 정도, 종업원의 기업 경영에 대한 만족도 등 윤리경영에 관한 지표들을 평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제는 한국적 복지경영학이 무엇이냐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면서 사회복지기관의 특질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새로운 비젼과 꿈을 이루기 위하여 계속적인 관심과 노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할 때 한국적 복지경영이 좀 더 나은 단계로 도약할 것이라고 본다. 부족한 본서를 통하여 복지경영학의 학문적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김성철


 

CHAPTER 01 복지경영학의 이해

제1절 복지경영학이란 무엇인가?
제2절 복지경영학의 시각
제3절 경영자와 복지경영학


CHAPTER 02 경영전략과 기업환경

제1절 경영전략과 복지경영
제2절 기업환경과 복지경영
제3절 경쟁전략 유형과 복지위기


CHAPTER 03 경영조직화와 복지경영

제1절 조직경영에 대한 고전적 이론(Classical Approach)
제2절 행동과학이론과 복지경영
제3절 현대 경영 이론


CHAPTER 04 조직문화와 지휘

제1절 조직화와 복지경영
제2절 조직구조와 복지경영
제3절 조직문화와 조직 변화관리


CHAPTER 05 경영 철학적 마케팅과 복지경영

제1절 마케팅 관리철학과 마케팅믹스
제2절 마케팅조사와 복지마케팅
제3절 복지경영마케팅과 마케팅전략


CHAPTER 06 서비스 관리와 복지경영

제1절 서비스의 정의와 유형
제2절 서비스의 특징
제3절 서비스기업의 복지경영전략


CHAPTER 07 고객관계관리

제1절 고객관계관리의 배경과 성공요인
제2절 CRM의 의의와 편익
제3절 CRM의 성공전략과 발전 방향


CHAPTER 08 촉진관리와 복지경영

제1절 촉진의 의의와 커뮤니케이션과정 모형
제2절 촉진수단의 관리
제3절 광고관리와 복지경영의 변화


CHAPTER 09 유통관리와 민관 파트너십

제1절 유통의 관리와 경로
제2절 비영리로서의 복지경영
제3절 민관 파트너십과 복지경영


CHAPTER 10 커뮤니케이션과 인적자원

제1절 커뮤니케이션과 미래의 복지경영
제2절 인사관리와 복지경영
제3절 인간중심의 휴머니스트로서의 복지경영


CHAPTER 11 지식중심과 사회적 기업의 복지경영

제1절 지식중심의 복지경영
제2절 사회적 기업과 섬김의 가치
제3절 복지경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약


CHAPTER 12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리더십

제1절 자기관리와 사회복지서비스 한계
제2절 창조적 리더십과 복지경영
제3절 사회복지적 리더십과 복지경영


CHAPTER 13 사회복지기관의 경영혁신

제1절 미래를 준비하는 복지경영
제2절 조직목표와 복지경영
제3절 블루오션 전략과 복지경영


CHAPTER 14 복지경영의 도약과 모색

제1절 기업윤리와 복지경영의 합리성
제2절 문화복지와 복지경영의 전망
제3절 복지경영의 도약과 모색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