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오래된 생각의 새로운 의미 발견(new significance of an old idea)’이라는 명쾌하게 표현되고 일견되는, 평생교육의 오래고도 새로운 ‘지혜로운 의미’를 다시금 떠올려 본다. 평생교육이란 본질적으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그 모든 유형과 장르의 교육과 학습을 통합적이고 포괄적으로 담아내는 ‘모체 개념’의 성격을 지닌다. 그렇기에 평생교육은 그 자체로 이미 교육과 학습의 본래적 모습을 상정하는 원류 개념이기도 하다. 학교라는 제도화된 교육의 테두리 안에 어느새 닫혀 버린 형식교육을 넘어, 다양한 모습의 가정과 사회에서의 탈정형적이고 비형식화된 교육을 포괄하는, 나아가 일상의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무정형적이고 우연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그런 교육의 총체적 원형이 바로 평생교육이다.
일찍이 학습사회론자인 허친스(R. Hutchins)는 평생교육의 궁극적 이상향으로 학습이 인간의 삶과 사회 진화의 원천이 되는 ‘학습사회 이념’에 주목하였다.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무엇이든, 어떠한 방식으로든, 배움을 주고받는’ 열린학습사회는 교육시기의 열림, 교육장(場)의 열림, 교육주체의 열림, 교육방법의 열림, 교육소통의 열림을 지향한다. 학습사회를 지향하는 평생교육은 세상 속 모든 사람들의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의 배움, 스스로 주인이 되는 자발적 배움을 무엇보다 중시한다. 가르치는 자에 의한 일방향적 교육을 넘어, 학습자가 중심이 되고 주인이 되는 배움을 통한 소통과 융합의 열린 학습세상을 지향한다. 교육주의를 넘어선 학습주의, 학습을 넘어서는 보다 큰 의미의 삶을 통한, 삶으로서의 ‘배움’을 추구한다.
이 책의 집필은 그렇듯 소중한 배움의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평생교육론을 집필하며 필자들은 참으로 ‘오래된 생각의 새로운 의미 발견’을 추구해 보고 싶었다. 무수히 많은 평생교육론이라는 동일 제하의 책들을 되새겨 보며, 평생교육의 이모저모를 두루두루 그리고 조금은 깊고 새롭게 담아내 보고자 애썼다. 평생교육의 기초에서부터 실전과 정책적 담론에 이르기까지, 평생교육이라는 이념의 학적 근거를 이루는 이론적 논의에서부터 새로운 장르의 시도들을 만나보는 일까지 고루 담아내 보고자 애썼다.
제1부 평생교육의 기초
제1장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사회
1. 평생교육의 등장
2. 평생교육의 정의
3. 평생교육의 관련 용어
4. 새로운 기술과 사회변화
참고문헌
제2장 해외의 평생교육
1. 각국 평생교육의 전개
2.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참고문헌
제3장 평생교육의 학문적 배경
1. 철학적 배경
2. 사회학적 배경
참고문헌
제4장 평생교육의 주요 이론
1. 안드라고지(Andragogy)
2. 자기주도학습
3. 전환학습이론
4. 의식화이론
5. 경험학습이론
참고문헌
제5장 평생교육의 법과 행정
1. 법과 교육
2. 평생교육법 체제
3. 평생교육 행정체계
참고문헌
제6장 평생교육사 양성과 주요 제도
1. 평생교육사
2. 평생학습계좌제
3. 학점은행제
4. 독학학위제
참고문헌
제2부 평생교육의 실제
제7장 평생교육의 주요 터전
1. 지역사회교육의 실천
2. 학교평생교육
3. 평생교육기관
참고문헌
제8장 학습동아리와 평생학습 네트워크
1. 학습동아리
2. 평생학습 네트워크
참고문헌
제9장 평생교육의 주요 대상
1. 노인 평생교육
2. 청소년 평생교육
3. 여성 평생교육
4. 장애인 평생교육
5. 이주민 평생교육
참고문헌
제10장 인권과 시민교육
1. 인권과 시민
2. 시민교육의 적용
참고문헌
제3부 평생교육의 미래
제11장 소셜 러닝과 스마트 러닝
1. 소셜 러닝(Social Learning)
2.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
참고문헌
제12장 한국 평생교육의 과제와 전망
1. 한국 평생교육의 실천
2. 한국 평생교육의 과제
3. 한국 평생교육의 전망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