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다문화시대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는 우리 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소수민족이 다양해지고,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많이 출생되고, 한국에서 공부하기 위해 많은 유학생들이 입국하여 거주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행정안전부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16년(11월 1일) 국내 외국인주민 수가 1,764,664명(총인구 대비 3.4%)으로 2006년 536,627명(총인구 대비 1.1%)에 비해서 228.8%가 증가하였으며, 외국인주민 자녀 만 18세 이하의 학생 201,333명 중에서 만 6세 이하 유아는 113,506명으로 56.4%, 만 7세 이상에서 12세 이하 초등학생은 56,768명으로 28.2%, 만 13세 이상에서 만 18세 이하 중⋅고등학생은 31,059명으로 15.4% 등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와 자녀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학교현장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험성적에 대한 부담, 학교부적응 및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다문화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교수자들에게 필요한 다문화사회의 교수방법에 대해서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 다문화와 다문화사회의 이해, 제2장 다문화교육의 이해, 제3장 다문화 역량과 다문화 교수 역량, 제4장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제5장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 제6장 다문화 교수⋅학습방법의 이해, 제7장 다문화 교육평가의 이해, 제8~12장 다문화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등이다.
이 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문화사회전문가 양성과정의 필수 교과목으로서 교수방법과 관련된 영역을 설정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며, 막상 이 책을 출간하려고 하니 처음 의도했던 것과 차이가 있어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하지만 앞으로 계속 수정⋅보완하여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교수⋅학습방법을 지속적으로 담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 책이 다문화사회전문가들이 가르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독자 여러분의 관심 어린 조언이 있기를 바란다.
끝으로, 이 책을 집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준 중원대학교에 감사드리며, 기꺼이 출판해 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보다 좋은 책을 출판하기 위해 노력하시는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8년 6월
괴산에서 이기용 올림
제 1 장 다문화와 다문화사회의 이해
1. 문화 및 다문화의 의미
2. 다문화 이론
3. 다문화사회의 의미 및 특징
4. 다문화사회의 전망 및 과제
제 2 장 다문화교육의 이해
1. 다문화교육의 의미
2.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주요 쟁점
3. 다문화교육의 영역 및 유형
4. 다문화교육의 운영 현황
제 3 장 다문화 역량과 다문화 교수 역량
1. 다문화 역량의 의미 및 구성요소
2. 다문화 교수 역량의 의미 및 구성요소
3.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교수 역량
제 4 장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1.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미
2.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3. 다문화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제 5 장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
1. 다문화 교육과정의 접근방법
2.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모형 및 접근모형
3. 다문화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모형
제 6 장 다문화 교수·학습방법의 이해
1. 다문화 교수⋅학습방법의 의미 및 방향
2. 다문화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3. 다문화교육 수행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의 유의사항
제 7 장 다문화 교육평가의 이해
1. 다문화 교육평가의 의미 및 개발
2. 다문화 교육평가의 유형 및 도구
3. 다문화 교육평가의 방법
제 8 장 문화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1. 국어교과 문화 교수학습지도안
2. 사회교과 문화 교수학습지도안
3. 창의적 체험활동 문화 교수학습지도안
제 9 장 다양성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1. 국어교과 다양성 교수학습지도안
2. 사회교과 다양성 교수학습지도안
3. 체육교과 다양성 교수학습지도안
4. 창의적 체험활동 다양성 교수학습지도안
제 10 장 반편견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1. 국어교과 반편견 교수학습지도안
2. 미술교과 반편견 교수학습지도안
3. 창의적 체험활동 반편견 교수학습지도안
제 11 장 정체성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1. 국어교과 정체성 교수학습지도안
2. 사회교과 정체성 교수학습지도안
3. 체육교과 정체성 교수학습지도안
4. 미술교과 정체성 교수학습지도안
5. 창의적 체험활동 정체성 교수학습지도안
제 12 장 협력/ 평등성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1. 협력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2. 평등성 관련 교수학습지도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