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여성과 사회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우리 사회는 정치적⋅사회적 격동기를 거치는 가운데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도 변하였고 새로운 가치관 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여성관과 남성관은 과거의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남녀 차이란 어느 시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존재하는 현상이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아직도 차이가 아닌 차별의 형태로 나타나고 구습을 몰아낸 자리에 또 다른 형태의 차별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를 연결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을 바로 정립하고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사회가 되기 위해 여성과 남성의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의 여성관과 남성관은 사회 지배 이데올로기인 가부장적 이념이 바탕을 이루고 있으나 그런 이념은 잘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는 속성이 있다. 왜냐하면, 성 관념은 일상의 삶 속에 스며든 지배적 이데올로기이므로 이념적 본질은 드러나지 않고 보편적 현실인 것처럼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념적 은폐성은 남녀 간 차이를 논할 때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여성과 남성은 살아가는 동안 사회적⋅정치적⋅경제적으로 각기 다른 환경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험의 차이는 남녀의 역할을 구분할 뿐 아니라 가치관 및 삶을 살아가는 동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회가 정치⋅경제적으로 구조화된 경우 어떤 형태로든 지배 및 피지배 계층이 형성되고 계층 간 갈등과 대립이 있게 된다. 이렇게 계층으로 분화된 사회에서 이념은 실질적으로 지배 계층의 이해나 가치를 대변하는 경향이 있고 또 보이지 않는 속성이 있으므로 사회는 그러한 이념을 보편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성에 대한 이해나 가치는 역사적⋅제도적 산물이므로 사회변동과 더불어 변하는 특성을 보인다. 시대 변화에 따른 남녀 간 차이 및 갈등에 대한 논란은 있으나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남녀 관계와 역할에 대한 담론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시점에 과거와 현재의 성에 대한 담론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작업은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와 부합된다.
 여성학은 열린 사고와 탐구를 허용하는 학문이며, 이론과 실제가 같은 맥락에 있을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 책은 여성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보다 독자들에게 지면을 통해 현실을 보여줌으로써 합리적인 답을 찾을 수 있는 사고의 장을 여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특히 필자들은 본 책이 여성에게는 자신을 스스로 바라볼 수 있는 자의식을 일깨워 주고 남성에게는 여성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면서 지금까지의 관념에서 벗어나 우리 앞에 놓인 문제를 객관적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지침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2020. 7.
정영숙⋅서종수⋅이우구

 

CHAPTER 01 성의 이해 10

1. 페미니즘의 개념과 특성 10
2. 학문적 배경과 발전과정 15
3. 여성학의 학문적 특수성 20
4. 실천 운동으로서의 여성학 23
5. 여성운동의 본질과 흐름 26
6. 한국의 여성운동 33
7. 여성운동의 방향 37


CHAPTER 02 페미니즘과 패러다임 40

1. 자유주의 페미니즘 42
2. 마르크스⋅사회주의 페미니즘 46
3. 급진주의 페미니즘 52
4.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58
5. 페미니즘의 미래 방향 62


CHAPTER 03 성역할의 사회화 66

1.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 66
2. 성역할 사회화 70
3. 성역할의 구성과 재구성 : 양성성 79
4. 성역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1


CHAPTER 04 성, 사랑, 결혼 88

1. 성과 사랑에 대한 이해 88
2. 성 89
3. 사 랑 98
4. 결 혼 110


CHAPTER 05 여성과 가족 116

1. 가족의 정의와 기능 116
2. 가족에 대한 관점 120
3. 가족 이데올로기 125
4. 가족 이데올로기의 해체 130


CHAPTER 06 여성과 예술 134

1. 문학과 이데올로기 134
2. 문학과 성차별 의식 137
3. 페미니즘 문학 139
4. 페미니즘 미술 151
5. 페미니즘 예술가 153


CHAPTER 07 대중매체 속의 여성 160

1. 대중매체의 기능과 역할 160
2. 대중매체와 성차별문화 162
3. 대중매체와 성문화 172


CHAPTER 08 성과 일탈행동Ⅰ 182

1. 가정폭력 182
2. 성폭력 191
3. 성희롱 199


CHAPTER 09 성과 일탈행동Ⅱ 208

1. 데이트 폭력 208
2. 성매매 216
3. 동성애 227


CHAPTER 10 여성과 법 그리고 정치 250

1. 여성과 법 250
2. 여성과 관련된 법 251
3. 여성과 정치 260
4. 여성의 정치 참여 필요성과 확대방안 263


CHAPTER 11 여성과 경제 268

1. 경제활동참가 동향 268
2. 직업환경 278


CHAPTER 12 여성과 시장노동 290

1. 성차별 개념과 유형 290
2. 성불평등 이론 293
3. 여성의 고용환경 308


CHAPTER 13 여성과 가사노동 318

1. 가사노동이론 319
2. 가계생산의 개념 321
3. 전통이론과의 차이점 323
4. 가족 내 노동 분담 325
5. 남녀 시간의 보완성과 대체성 328
6. 시장노동시간과 가사노동시간의 가치 331
7.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 333
8.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의 적용과 의미 337


CHAPTER 14 여성주의 상담 342

1. 여성주의 상담의 이해 342
2. 여성주의 상담의 개념과 원리 346
3. 여성주의 상담의 목표와 진행과정 354
4. 여성주의 상담자와 상담자 교육 362


CHAPTER 15 여성빈곤과 복지 372

1. 빈곤과 복지 372
2. 빈곤 문제의 심각성 375
3. 빈곤화 요인 377
4. 여성과 빈곤 383
5. 여성가구주의 빈곤화와 문제 390


▪참고문헌 398
▪찾아보기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