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강점기반실천과 사례관리


  • 구매하기
  • 장바구니
 

 필자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정신장애인 재활시설 <어우러기>, <고운누리> 등 정신보건현장에서 때로는 직원으로, 때로는 슈퍼바이저로 강점기반실천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함께해 왔습니다. 2018년 현재, 강점기반실천을 적용하고자 하는 정신보건시설이 10개 이상으로 늘어났고, 다양한 사회복지현장의 실무자들의 강점기반실천에 대한 관심과 시도 또한 증가하고 있어 행복합니다. 아직까지도 많은 분들이 강점기반실천은 단순한 관점에 지나지 않으며 현실적용이 힘든 이데아일 뿐이고 구체적인 실체가 없다고들 하지만 그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현장 그리고 고민과 노하우를 나눌 수 있는 실무자들이 있기에 이제는 든든합니다.

  실무자들로부터 강점기반실천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서가 필요하다는 요구를 받으면서도 부족함에 망설이다 출판이 늦어졌습니다. 현장의 실무자들과 함께 고민하고 실행하면서,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점이 단순히 세상을 보는 시각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님을, 관점을 시작점으로 실천과정과 결과가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궁극적으로는 기관, 실무자와 클라이언트 모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지켜보았기에 조심스럽게 이 책을 세상에 내놓습니다.

 

CHAPTER 01 강점관점과 강점기반실천

  1. 관점의 전환

   1) 병리적 관점

   2) 강점관점

  2. 강점관점의 철학적 배경

   1) 포스트모더니즘

   2) 구성주의

  3. 관련 이론 및 모델

   1) 임파워먼트

   2) 해결중심모델

   3) 이야기치료

   4) 동기상담

   5) 긍정심리학

   6) 회복모델

  4. 강점기반실천

   1) 강점기반실천의 등장

   2) 강점기반실천 관련 이론 및 개념

   3) 강점기반실천의 원칙

   4) 강점기반실천의 목적


CHAPTER 02 강점기반실천의 전제

  1. 강점기반실천의 전제

   1) 인식, 언어, 패러다임에 대한 점검

   2) 변화와 성장을 위한 전제

   3) 상담이 아닌 대화

   4) 다른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 함께하기

   5) 교정반사행동에서 벗어나기

  2. 강점이란 무엇인가?

   1) 왜 장점이 아니고 강점인가?

   2) 강점이란?


CHAPTER 03 강점기반실천에서의 대화

  1. 강점기반실천의 대화과정

   1) 공감적 경청

   2) 질문하기

   3) 명료화하기

   4) 자기주체적 언어 사용하기

   5) 긍정적 재구성(Reframing)

   6) 이야기의 해체와 재구성

  2. 변화를 촉진하는 대화


CHAPTER 04 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1) 서구의 사례관리 등장배경

   2) 한국의 사례관리 전개 과정

  2. 사례관리의 개념과 원칙

   1) 사례관리의 개념

   2) 사례관리의 원칙

  3. 사례관리 구성요소

   1) 클라이언트

   2) 사례관리자

   3) 조직체계

   4) 서비스 및 자원

  4. 사례관리 모델

   1) 중개모델(Broker Model)

   2) 임상모델(Clinical Case Management)

   3) 강점모델(Strength Model)

   4) 재활모델(Rehabilitation Model)

   5)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모델

   6) 집중모델(Intensive Model)

  5. 사례관리 과정

   1) 접 수

   2) 사 정

   3) 계획 수립

   4) 실행 및 점검

   5) 종 결

   6) 평 가


CHAPTER 05 강점기반사례관리

  1. 강점기반사례관리

   1) 강점기반사례관리의 원칙

   2) 강점기반사례관리의 특징

   3) 강점기반사례관리의 목적

   4) 강점기반사례관리 실천과정

  2. 강점기반사례관리 적용

   1) 클라이언트가 주체인가?

   2) 파트너, 촉진자로서 사례관리자의 역할 수행5


CHAPTER 06 강점기반사례관리의 실제

  1. 사례개요

  2. 과정별 핵심내용

   1) 초기단계

   2) 사정(Assessment)

   3) 계획수립

   4) 실행 및 점검

   5) 평가 및 종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