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어린 한 생명을 의젓한 사회인으로 키우기 위해
우린 신앙과도 같은 깊은 사랑을 쏟아부었나 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오랫동안 생활한 원장으로서, 바람직한 교육철학과 확고한 소신으로 지역사회에 모범이 되고, 올바른 교육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모델이 되며,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을 꾀하는 본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품고 있습니다.
지팡이를 들어 바다를 가르던 모세, 그 서릿발 같은 눈빛과 강한 어조로 흐트러진 시대에 한줄기 빛과 같은 존재가 된 것처럼 교육의 길잡이와 나침반 같은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열정을 바치는 교육자이고 싶습니다.
이 책은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무엇이든 심도 있게 알아가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배웠을 꿈동이들에게 힘찬 박수 갈채를 보냅니다. 그리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하는 교사들에게 누리교육과정을 기초로 한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의 바른 적용을 위한 독특하고 창의적인 지침서가 되길 기원합니다.
Development
Ready
Education
Activity & creative
Manners
유아의 발달과 수준을 고려한 준비된 교육을 통해 활동적이고 창의적인 어린이, 글로벌 리더로서 예의 바른 행복한 어린이로 길러냅니다.
아이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유아들의 발달을 이해하고 준비된 환경에서 활동적이고 창의적인 바른 교육과 인성이 자라도록 키우고자 합니다. 누리교육과정을 기초로 지역사회와 연관된 자원의 활용점과 기술을 적용시키며 아낌없는 열정과 사랑을 쏟아주고자 합니다.
앞으로 더욱 유아교육에 연구 노력할 것이며 열정을 다해 좋은 선생님이 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교육만이 미래이고 희망입니다.
우리들의 꿈동이들에게 힘찬 박수와 격려를 보냅니다.
2018년 깊은 가을에
이 정 아
Part 1 프로젝트 접근법
Chapter 1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1. 정의 및 목적
2.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3. 프로젝트 접근법의 역사적 배경
4. 프로젝트 접근법의 전개과정
Chapter 2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수-학습법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1.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2. 유아의 사회성 발달
3. 결론 및 제언
Chapter 3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 정의
4. 이론적 배경
Part 2 프로젝트 접근법의 현장에서의 실제 활동
만 5세│초등학교 교과서로 본 동·식물 프로젝트
Ⅰ. 프로젝트 준비단계
Ⅱ. 프로젝트 시작단계
Ⅲ. 프로젝트 전개단계
Ⅳ.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Ⅴ. 프로젝트 평가단계
만 4세│시장 프로젝트
Ⅰ. 프로젝트 준비단계
Ⅱ. 프로젝트 시작단계
Ⅲ. 프로젝트 전개단계
Ⅳ.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Ⅴ. 프로젝트 평가단계
만 3세│물고기 프로젝트
Ⅰ. 프로젝트 준비단계
Ⅱ. 프로젝트 시작단계
Ⅲ. 프로젝트 전개단계
Ⅳ.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Ⅴ. 프로젝트 평가단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