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한국생태유아교육 시리즈 ①  

생태유아교육의 사상

아이를 주체적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이 책은 새롭게 기획한 한국생태유아교육 시리즈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아이를 주체적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이라는 제목으로 정했다.

  필자는 이 책을 구상하면서 여러 가지 고심을 했다. 특히 도울 김용옥 선생을 기조 발제자로 모시고 <혼돈의 육아현실, 유아교육의 정도를 찾아서>를 주제로 개최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가 커다란 계기가 되었다. 필자는 이 학술대회에서 <아이를 주체적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이라는 주제로 꽤 긴 발표문을 준비하게 되었으며, 이를 학회 회원뿐 아니라 여러 분들에게 널리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변의 권유에 의해 책의 제목으로 정하게 되었다.

  이 학술대회에서 그런 주제를 선정하게 된 것은 우리 사회의 암담한 유아교육·보육 현실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모색하려는 절절함이 있었다. 여기에는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2012년 누리과정 시행을 시작으로 망가지기 시작한 유아교육ㆍ보육이 “유아교사의 생명은 수업이다”는 깃발 아래 ‘수업중심 유아교육’으로의 광풍에 이어 ‘로봇유아교육’을 거쳐 ‘CCTV 유아교육’에 이르러 마침내 아이를 낳지 않는 세계 최악의 인구절벽시대에 직면하면서 혼돈의 육아현실에서 벗어나 한국 유아교육의 정도를 찾아야 한다는 절실함이 있었다.

  이 책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한국 유아교육의 새로운 화두:생태유아교육의 실현’으로 한국 유아교육의 현실과 아이들의 삶에 대한 진단과 한국 유아교육의 새로운 화두로 등장한 생태유아교육의 성격과 교육과정 및 과제와 전망을 다루고 있다.

  제2장 ‘기존 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기본관점:세계관ㆍ아동관ㆍ발달관ㆍ교육관’에서는 제목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 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에서 바라보는 세계관ㆍ아동관ㆍ발달관ㆍ교육관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유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목표와 내용과 방법 등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장의 내용은 생태유아교육 사상의 주요 부분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제3장 ‘아이를 주체적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이다. 이 장의 내용은 생태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함께 다루고 있으며, 그 이론과 실제의 근본, 본질, 원리 등을 찾아보자 하였다. 독자 여러분은 이 장의 내용을 통해 유교ㆍ불교ㆍ도교와 기독교의 생명창조진화 사상을 포괄하는 우리 민족의 천지인 사상과 홍익인간 사상 및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 삶의 육아지혜에 바탕을 둔 생태유아교육의 깊이와 폭을 가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오래된 미래의 유아교육’인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자긍심도 가지게 될 것이다.

  여기서 한국생태유아교육 시리즈 발간에 대해 잠시 언급하고자 한 책을 내면서다. 이 시리즈는 지난 20년 가까이 생태유아교육이라는 이름 아래 치러진 생태강좌, 학술대회, 기념강연 등에서 발표한 귀한 자료들을 분야별로 묶어 작은 책으로 출판하여 널리 보급하고자 기획한 것이다.

  우리는 이미 1990년대 말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시리즈를 기획 출판한 경험이 있다. 당시 필자의 주도로 산책 프로그램, 텃밭가꾸기 프로그램, 세시풍속 프로그램, 노인·아동상호작용 프로그램, 손끈놀이 프로그램 등 10여 권 이상의 프로그램을 소책자로 개발 보급하면서 생태유아교육의 확산에 기여한 바 있다.

  이번에 ㈔한국생태유아교육연구소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와 함께 기획한 한국생태유아교육 시리즈는 생태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련된 여러 분야를 다루고자 한다. 생태유아교육의 여러 분야와 영역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기존 유아교육의 이론ㆍ실제와의 비교 접근을 통해 바람직한 유아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2002년 6월 창립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에서는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춘계와 추계 학술대회를 통해서 기존 유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혁방안에 대한 이론적 연구물과 실천적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연구 발표하고 이를 축적해 왔다. 이러한 연구자료들은 자연의 순리와 사람의 도리와 조상의 지혜로 어린 아이를 키우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인 생태유아교육의 이론적·실증적 근거가 되고 있다.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물들은 아이살림·생명 살림의 유아교육으로서 유아교육의 정도(正道)를 제시해 주기에 시대 사회적 변화에 상관없이 그 이론적·실증적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

  이 책은 생태유아교육에 관심이 있는 유아교육 관계자들은 물론 학부모들과 일반인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유아교육을 공부하는 학부, 대학원 학생들에게도 유익한 읽을거리가 되기를 바란다. 특히 그동안 생태유아교육은 산책가고, 텃밭 가꾸고, 세시풍속 행사하고, 유기농 먹이는 것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던 교수, 연구자, 원장, 교사 등 유아교육 관계자들의 경우 생태유아교육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생태유아교육의 폭과 깊이를 실감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특히 해방 후 지금까지 한국 현대 유아교육 체제에서 주류를 자처해 온 기존 유아교육학계의 교수와 연구자, 유아교육 행정·정책 관계자들의 관심과 일독을 진심으로 바란다.

  끝으로 이 책의 원고 정리와 교정 및 관련자료 수집에 도움을 주신 ㈔한국생태유아교육연구소의 이선정 기획실장과 박지현 선생과 황국화 선생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특히 한국생태유아교육 시리즈 기획과 이 책의 발간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촉박한 일정에 쫓겨 많은 수고를 하신 편집진 여러분들에게 특별히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2018년 6월 1일

㈔한국생태유아교육연구소 이사장 임재택 모심

 

제1부 한국 유아교육의 새로운 화두 생태유아교육의 실현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유아교육의 현실과 아이들의 삶

      Ⅲ. 한국 유아교육의 새로운 화두

      Ⅳ. 생태유아교육의 현황과 전망

      Ⅴ. 마무리


제2부 기존 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기본관점 세계관·아동관·발달관·교육관

      Ⅰ. 세계관

      Ⅱ. 아동관

      Ⅲ. 발달관

      Ⅳ. 교육관


제3부 아이를 주체적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

      Ⅰ. 들어가는 말

      Ⅱ. 천지인 생명 조화의 이치

      Ⅲ. 사람의 몸 마음 영혼의 이해

      Ⅳ. 인간의 길과 교육의 원리

      Ⅴ. 홍익인간 이념과 우리 교육 현실

      Ⅵ. 생태유아교육의 이념과 원리 탐구

      Ⅶ. 생태유아교육의 구성 체계와 운영의 개요

      Ⅷ. 나오는 말:아인슈타인과 생태유아교육의 만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