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교육학은 인접 학문에서 교육과 관련된 것을 발췌하여 탄생한 교육에 대한 종합과학이므로 참으로 방대한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교육학에 대한 입문서가 교육학개론이다. 교육학개론은 교육학 전반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기본 교수요목으로 하는 교과목이므로 교육의 이해, 교육원리, 교육의 기초 이해, 교육의 입문서로 불린다. 따라서 본 교재를 통해 교육학에 대한 기초적인 입문을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교육학에 대한 보다 심오한 탐구를 원하는 독자는 교육학의 각론들을 탐독해 나가면 될 것 같다.
이러한 방대한 교육학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한다. 하지만 본 교재에서는 총 10장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제2장 교육의 철학적·역사적 기초, 제3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4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제5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제6장 교육과정, 제7장 생활지도와 상담, 제8장 교육평가 및 통계, 제9장 교육행정, 제10장 교육연구 영역이다.
본 교재에 이어 보다 교육학에 대한 보다 양질의 심화·확대된 이론 탐구를 원하는 독자는 저자의 교재인 [교육학](상·하, 2016, 정민사)를 구입하여 참조하길 바란다.
각 영역별 주요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 문자 그대로 교육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개념(교육의 정의), 교육의 목적, 교육의 기능(본질적 기능과 비본질적 기능)과 역할, 교육의 종류, 교육의 효과 한계 등을 알아야 한다.
2. 제2장 교육의 철학적·역사적 기초 : 교육의 철학적·역사적 기초 영역은 교육철학과 교육역사를 이해하는 장이다. 교육철학은 교육과 철학을 접목시켜 교육을 밝게 이해시키는 학문으로 교육에 대한 명확한 목적의식, 교육관을 갖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교육철학의 연구영역은 교육철학의 개념, 교육철학의 기능, 교육철학의 연구영역(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논리학), 지식의 종류, 전통철학(관념론, 실재론, 자연주의, 실용주의), 현대철학(미국 :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신본질주의, 유럽 : 분석철학, 실존철학, 현상학,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비판철학, 신자유주의, 생태주의 등) 등이다. 교육사는 교육에 대한 역사를 이해함으로써 역사적 사건도 배우지만, 역사를 통해 교육의 지혜를 배울 수 있다. 따라서 역사는 과거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통해 지혜를 얻어 교육의 미래를 보는 혜안을 얻게 된다. 교육의 역사는 서양교육사와 동양교육사(중국과 일본을 연계한 한국교육사)로 분류된다. 서양교육사는 고대교육(그리스교육, 로마교육), 중세교육(기독교교육, 세속교육), 근세교육(16세기 인문주의와 종교교육, 17세기 실학주의, 18세기 계몽주의, 자연주의, 범애주의, 19세기 신인문주의), 현대 교육(미국 현대철학, 유럽 현대철학)으로 분류된다. 동양교육사는 중국, 일본과의 연관 속에서 한국교육의 역사를 배운다, 서양교육사와 마찬가지로 상고시대의 교육(고조선~삼국 이전), 삼국시대의 교육, 고려시대의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 근대교육, 현대교육 순으로 분류된다.
3. 제3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 교육의 심리적 기초 영역은 교육에 대한 것을 심리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교육현장에서 인간의 행동변화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곧, 교육의 테두리 안에서 인간의 행동을 기술·이해·예언·통제하기 위해서 교육실천에 필요한 원리와 기술을 찾으려고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이처럼 교육심리학은 교육입문자나 예비교사로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 교육현장 안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행동이 변화되고 적응해 가는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문인 것이다. 교육심리학의 연구영역으로는 발달심리, 학습심리, 성격심리, 적응심리, 생활지도, 교육평가, 교육통계, 교수?학습 지도(교육방법), 교육공학, 정신위생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들 영역 중에서 생활지도, 교육평가, 교육통계, 교수?학습 지도(교육방법), 교육공학, 정신위생 등이 독립된 각론으로 분류되면서 더욱 전문화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교육심리학의 영역에 남아 있는 분야는 발달심리, 학습심리, 적응심리가 주된 연구 분야가 되고 있고, 그중에서도 가장 주된 영역은 인간의 행동 변화를 연구하는 학습심리이다.
4. 제4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 교육의 사회적 기초(교육사회학)는 교육과 사회를 관련시켜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교육사회학은 교육학과 사회학이 접합한 학문으로서 두 학문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이런 이유로 교육학과 사회학 중에서 어느 영역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논쟁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사회를 관련시켜 연구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다. 교육은 사회의 영향을 받고, 사회는 교육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육과 사회는 상호 의존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정권이 바뀌면,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정책을 수립한다. 이처럼 교육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예비교사는 기초적인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한다. 교육의 사회적 기초의 주요 연구 영역으로는 교육사회학의 주요이론으로 거시적 접근(기능이론, 갈등이론)과 미시적 접근(신교육사회학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학교교육의 대중화와 학력상승, 교육과 문화, 학교교육론(學校敎育論), 평생교육론 등이 있다.
5. 제5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방법은 문자 그대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연구하는 영역이다. 즉, 교수법에 대한 탐구이다. 교사가 가르치는 활동과 학생이 배우는 활동이 상호 교류하는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곧 교사가 학생의 학습(행동의 변화)을 촉진시키기 위해 환경을 조성하고, 안내하고 조력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방법의 주요 연구영역은 교수?학습의 개념, 수업목표, 교수?학습 지도의 원리, 교수?학습 지도의 유형(토의법, 협동학습,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교수법, 자원기반학습, 플립러닝 등), 교수이론(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적성처치 상호작용모형, 개별처방 교수법 : IPI, Bruner의 발견적 수업이론,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 Gagne?의 목표별 수업이론, Keller의 학습동기모형, Merrill의 구인전시이론, Reigeluth의 정교화 이론, 웹기반 수업, PQ4R 학습전략, Csikszentmihalyi의플로우이론) 등이다. 교육공학이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계공학적 원리를 교육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학문이다. 즉, 교육공학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목적), 그 과정과 자원을 이용하여(수단), 설계·개발·활용·관리·평가 등의 기능을(영역),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하나의 학문 분야이다. 따라서 예비교사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교육공학의 연구영역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교육공학의 주요 연구영역은 설계(체제적인 수업설계모형), 개발(교수매체 연구, 교수매체 선정과정, 교수매체 종류) 분야이다.
6. 제6장 교육과정 : 교육의 3요소는 가르치는 주체와 배우는 객체, 그리고 매개체를 말한다. 이 매개체에 해당되는 것이 각종 교재나 교육과정(curriculum)이다. 교육과정(curriculum)이란 어원적(語源的)으로 정의하면 “교육의 과정에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엇을 내용으로 선정해서 어떻게 조직하여 가르칠 것인가를 종합적으로 묶은 교육의 전체 계획”을 말한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형태가 너무 다양하고, 사전에 문서화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공식적인 교육과정, 표면적인 교육과정), 문서화되지 않은 교육과정(잠재적 교육과정)도 있다. 또한 의도적으로 공식적 교육과정에서 배제한 교육과정(영 교육과정)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인하여 하나로 정의하기는 힘들고, 교육과정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따라서 교사는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 연구이론과 개발모형(전통주의 이론, 개념?경험주의 이론, 재개념주의 이론), 교육과정의 발전과 유형(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통합 등), 우리나라 국가적 교육과정(국가수준의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등 제반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
7. 제7장 생활지도와 상담 : 생활지도(guidance)란 모든 학생이 여러 가지 일상생활 문제에 당면했을 때, 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건전하게 성장·발달하도록 도와주는 지원·봉사활동이다. 즉, 학생이 학교 내외의 여러 가지 생활문제(교육, 직업, 성격, 여가, 사회성, 건강, 순결 등)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해결을 지도, 감독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봉사해 주는 활동이다. 따라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교사는 생활지도와 상담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생활지도의 주요 연구영역에는 생활지도의 기초, 생활지도의 원리(기본원리, 실천원리),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조사활동, 정보활동, 상담활동, 정치활동, 추수활동), 상담의 기초(상담의 기본조건, 상담의 기술), 주요 상담이론(인지적 영역 : Williamson의 지시적 상담이론, Ellis의 인지·정서·행동치료이론, Beck의 인지치료이론, Kelly의 개인구념이론, 정의적 영역 : Freud의 정신분석학이론, Adler의 개인심리학적상담, Jung의 분석심리학, Berne의 교류분석, Rogers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행동적영역 : Skinner의 행동수정이론, Wo?lpe의 상호제지이론, Glasser의 현실치료요법, 절충적 영역: Perls의 게슈탈트치료, De Shazer의 해결중심 상담이론), 생활지도의 실제 등이 있다.
8. 제8장 교육평가 및 통계 : 교육평가는 교육현장에서 측정에서 얻은 자료를 기초로 하여 교육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느냐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가치 유무(價値 有無)를 따지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평가 영역의 주요 연구영역은 발전과정, 평가관, 평가모형(목표달성모형, 가치판단모형, 의사결정모형 등), 교육평가의 유형(진단, 형성, 총괄, 규준지향평가, 목표지향평가, 능력참조평가, 성장참조평가, 수행평가, 역동적 평가 등), 교육평가의 절차(Bloom의 2원분류,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집중경향치(최빈치, 중앙치, 평균치), 변산도(범위, 사분편차, 평균편차, 표준편차), 검사점수 표시방법(원점수, 백분위점수, 표준점수, 9등급점수) 등이다.
9. 제9장 교육행정 : 교육행정에 대한 개념은 교육행정활동 혹은 그 현상의 다양성 때문에 학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다. 즉, 어떠한 입장에 기초하고,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무엇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교육행정은 매우 다른 개념으로 정의되고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포괄적으로 정의하면, 교육행정이란 ① 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② 교육법규나 정책을 집행하고, ③ 교수?학습에 필요한 제 조건을 정비, 확립하며, ④ 교육조직 구성원의 협동적 행위를 능률적으로 조성하는, ⑤ 수단적 봉사활동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행정의 주요 연구 영역으로는 교육행정의 정의, 교육행정의 원리, 교육행정의 주요 이론(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론, 체제이론, 동기이론, 지도성이론, 의사결정이론, 의사소통이론, 조직이론, 장학이론, 교육인사행정, 교육기획이론, 교육재정이론, 학교·학급경영이론) 등이다.
10. 제10장 교육연구 : 교육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비교육적 요인 및 문제점들을 분석·검토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그 개선점을 찾거나 새로운 사실과 원리를 찾아내는 활동이다. 교육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상을 파악하여 이론을 정립하는 데 있다. 즉, 교육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교육현상에 대하여 묘사(기술)·설명·예언·향상·통제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연구의 주요 연구영역은 교육연구의 기초, 교육연구의 일반적인 절차, 가설설정, 연구방법론, 표집,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등이 있다.
끝으로, 이 책이 독자들의 교육학 입문에 일조하여, 책을 구입하며 소원했던 모든 일들이 이루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2018년 10월
저자 한민석
Chapter 01 교육의 개념적 기초
Section 01 교육의 개념
Section 02 교육의 목적과 기능
Section 03 교육의 형태
Chapter 02 교육의 철학적·역사적 기초
Section 01 교육의 철학적 기초
Section 02 서양교육사 기초
Section 03 한국교육사 기초
Chapter 03 교육의 심리적 기초
Section 01 교육심리학의 기초
Section 02 발달심리
Section 03 학습심리
Section 04 적응심리
Chapter 04 교육의 사회적 기초
Section 01 교육사회학의 주요 이론
Section 02 학교교육의 대중화와 학력상승
Section 03 교육과 문화(Culture)
Section 04 학교교육론(學校敎育論)
Section 05 평생교육론
Chapter 05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Section 01 수업목표
Section 02 교수-학습 지도의 형태
Section 03 교수(수업)이론
Section 04 교육공학
Chapter 06 교육과정
Section 01 교육과정의 기초
Section 02 교육과정 연구이론과 개발모형
Section 03 교육과정의 주요 변천과정
Section 04 우리나라 국가적 교육과정
Chapter 07 생활지도와 상담
Section 01 생활지도(Guidance)의 기초
Section 02 생활지도(Guidance)의 원리
Section 03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
Section 04 상담(Counseling)의 기초
Section 05 주요 상담이론
Section 06 생활지도의 실제
Chapter 08 교육평가 및 통계
Section 01 교육평가(Educational Evaluation)의 기초
Section 02 교육평가의 유형
Section 03 교육평가의 절차
Chapter 09 교육행정
Section 01 교육행정의 기초
Section 02 교육행정의 원리
Section 03 교육행정의 주요 이론
Chapter 10 교육연구
Section 01 교육연구의 기초
Section 02 교육연구의 일반적 과정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