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 교수내용지식(PCK) 향상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유아기는 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과 올바른 인성을 기르고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결정적인 시기이다. 유아교육의 모든 교육영역에서 유아에게 현재 또는 미래의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고 준비시키지만, 특히 사회교육은 유아가 자신이 속한 가정과 사회 및 환경을 이해하고 가족, 또래집단, 지역사회, 나아가 세계 시민으로 참여하는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사회과학적 개념, 가치 및 태도 그리고 기술의 틀을 형성하도록 돕는 중요한 교육과정의 한 영역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과 직결되어 있으며, 유아교육은 수업의 계획과 진행, 평가 등이 전적으로 교사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에서   유아사회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들은 유아사회교육에 있어서 유아의 발달과 학습에 관한 특별한 지식체계를 가지고 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하는데, 유아교사가 유아들의 발달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적절한 내용과 교수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현장의 맥락적인 상황에 알맞게 다시 구성하는 지식을 교수내용지식(PCK :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이라 한다.
  이에 본 책은 교사양성 과정에서 유아사회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사회 교수내용지식을 향상시켜 사회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두었다. 유아교사는 유아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을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재구성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유아들의 개인ㆍ정서 및 사회성 발달과 사회과학적 지식 습득을 도모할 수 있도록 유아사회교육의 기초, 개인ㆍ정서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사회과학적 지식을 위한 유아사회교육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장에 내용지식으로서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에 대한 지식과 유아사회교육의 내용에 대한 지식, 교육학 지식으로서 유아사회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과 유아사회교육의 평가에 대한 지식, 학습자 지식, 그리고 상황지식을 담아 사회 교수내용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사회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주신 모든 교수님들과 유아교사들, 그리고 유아사회교육 강의에 대해 솔직하게 평가해 준 대구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에게 감사드린다. 또한 유아사회교육 분야의 많은 선행연구자들과, 각 대학에서 유아사회교육을 담당하고 계시는 모든 교수님들께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부족한 부분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것을 다짐하며, 이 책이 유아교사의 길을 준비하는 예비유아교사들과 유아교육 현장의 현직교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2019년 1월
저자 일동

 

PART 01 유아사회교육의 기초


Chapter 01 유아사회교육의 이해

1. 유아사회교육의 중요성 및 목적
2.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교사의 지식


Chapter 02 유아의 사회화

1. 유아 사회화 이론
2. 유아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hapter 03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1.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유아사회교육


Chapter 04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1. 유아사회교육의 접근방법


Chapter 05 유아사회교육의 평가

1.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2.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방법
3. 유아사회교육 평가의 활용


PART 02 개인ㆍ정서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Chapter 06 자아발달

1. 자아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자아 발달
3. 자아발달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Chapter 07 정서발달

1. 정서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정서 발달
3. 정서발달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Chapter 08 친사회성 발달

1. 친사회적 행동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친사회성 발달
3. 친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Chapter 09 시민의식 발달

1. 시민의식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시민의식 발달
3. 시민의식 발달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PART 03 사회과학적 지식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Chapter 10 유아를 위한 지리교육

1. 지리교육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지리개념 발달
3. 유아를 위한 지리교육


Chapter 11 유아를 위한 경제교육

1. 경제교육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경제개념 발달


Chapter 12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

1. 역사교육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역사개념 발달
3.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


Chapter 13 유아를 위한 환경교육

1. 환경교육의 정의 및 중요성
2. 유아의 환경개념 발달
3. 유아를 위한 환경교육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