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강의자료
ebook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최근 한국 사회는 의료기술 발달 및 산업화와 더불어 저출산으로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다. 그뿐만 아니라 사회의 양극화, 지식정보사회의 급속한 진행과 더불어 매우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우리 사회의 다변화·복잡화·다양화 등의 사회적인 요인으로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도움의 손길을 요구하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종류는 복잡·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한국의 현대사회는 부모의 이혼율 증가로 인해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과 청소년, 전통적인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점차 변화됨에 따라 혼자 생활하는 독거노인, 다문화 가정, 장애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클라이언트가 가진 욕구와 문제 해결을돕기 위해 풍부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가족·집단 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자들의 어려움과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시대적 상황에 따른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전문가들의 기술과 능력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실제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론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년 사회복지사가 보다 쉽게 이해하며 적용할 수 있도록 집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이 책은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학 전공자를 비롯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의 욕구 및 문제에 대해 인식하여 그들의 문제를 현명하고 지혜롭게 대처하고 해결하는 데 원조할 수 있도록 올바른 사회복지사로서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는목적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및 전문성
  제1절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및 목적 15
  제2절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필요성과 특성 17
  제3절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19
  제4절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21
  제5절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활동 영역 25
  제6절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31

Chapter 02 대인관계형성 및 의사소통기술
  제1절 전문적 관계형성의 개념 및 특성 41
  제2절 전문적 관계형성 기술의 기본 구성요소 42
  제3절 전문적 관계형성 기술의 기본원칙 48
  제4절 전문적 관계형성의 방해요인 52
  제5절 의사소통의 개념 및 기본요소와 응용 55

Chapter 03 면접기술 
  제1절 면접의 개념 및 목적과 특성 69
  제2절 면접의 구성요소 73
  제3절 면접의 유형 76
  제4절 면접의 과정 79
  제5절 면접의 기술 80
  제6절 면접의 기록 91

Chapter 04 심리사회모델
  제1절 심리사회모델의 개요 및 이론적 배경 101
  제2절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개념 105
  제3절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과정 108
  제4절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기술 110
  제5절 심리사회모델의 장점과 단점 118

Chapter 05 인지행동모델
  제1절 인지행동모델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123
  제2절 인지행동모델의 주요 개념 126
  제3절 행동주의 모델의 주요 개념 133
  제4절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과정 143
  제5절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술 144
  제6절 인지행동모델의 장점과 단점 148

Chapter 06 과제중심모델
  제1절 과제중심모델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151
  제2절 과제중심모델의 특징 153
  제3절 과제중심모델의 주요 개념 156
  제4절 과제중심모델의 개입원칙 및 개입목표와 개입과정 158
  제5절 과제중심모델의 개입기술 164
  제6절 과제중심모델의 한계점 167

Chapter 07 위기개입모델 
  제1절 위기개입모델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171
  제2절 위기개입모델의 특성과 주요 개념 173
  제3절 위기개입모델의 개입목표와 개입원칙 및 개입과정 177
  제4절 위기개입모델의 장점과 단점 184

Chapter 08 해결중심모델 
  제1절 해결중심모델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187
  제2절 해결중심모델의 기본가정과 주요 원칙 188
  제3절 해결중심모델의 개입목표 및 목표설정의 원칙 191
  제4절 해결중심모델의 개입과정과 개입기술 193
  제5절 해결중심모델의 장점과 단점 198

Chapter 09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특징 203
  제2절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및 구성체계 206
  제3절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입과정 209
  제4절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입기술 219 

Chapter 10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가족의 개념 및 특성과 기능 231
  제2절 현대사회 가족의 변화 235
  제3절 가족의 유형 및 체계 239
  제4절 가족 사정 도구 244
  제5절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개입과정 및 실천모델 249

Chapter 11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집단의 개념 및 목적 271
  제2절 집단이론 및 집단의 유형과 이점 272
  제3절 집단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구성요소 281
  제4절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및 특징 288
  제5절 집단사회복지실천 모델 290
  제6절 집단사회복지실천 지도 기술 및 원칙 291
  제7절 집단의 단계에 따른 사회복지실천기술 296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및 평가 
  제1절 사회복지실천 기록기술의 개념 및 목적과 용도 311
  제2절 기록의 내용과 특징 315
  제3절 기록의 유형 319
  제4절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개념 및 기능 328
  제5절 사회복지실천 평가 유형 329
  제6절 사회복지실천 평가 기법 332

  ■ 참고문헌 340
  ■ 찾아보기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