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인권과 함께 살펴보는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사회복지실천은 인간과 사회를 바람직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우리의 실천이 바람직한 결과를 자아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의 판단은 깊이 있는 숙고에 의해 이루어진다. 우리의 실천이 제대로 된 활동인지를 판단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선량한 마음과 의도만으로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양심이 어떻게 표현되어야 옳은 것인지, 또 바람직한 것인지, 게다가 그 양심이라고 하는 것이 늘 바른 것인지 등을 끊임없이 판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렇게 옳고 그름을 구별하고, 바람직한 것과 바람직하지 못한 것을 판단하는 사고작업을 철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철학적 사고과정을 통해 ‘무릇 사람이라면 갖추고 행해야 할 것’과 나아가 ‘전문적 실천을 하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정립하는 것은 무엇보다 원초적이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하지 않고 복잡하여 우리의 판단을 흐리게 할 경우가 많다. 실천활동의 여러 상황 속에서 인간으로서, 서비스 전문가로서 정당하게 갖추어야 할 태도, 그것을 윤리적 태도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 상황에서는 공학적 프로그램에 의해 짜여진 공식과 같은 윤리적 해답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해답을 추구하는 노력 역시 포기해서도 안 된다.
  사회복지실천을 담당하는 우리에게는 인본주의적 철학이라는 기본적인 사고의 틀이 있고, 이에 비추어 변하는 시대마다, 다른 상황마다 새롭게 해석해야 할 행위의 방식이 있다. 인간과 사회의 바람직성에 대한 끊임없는 숙고와 토론은 우리의 실천활동의 정당성을 더욱 확보하게 할 것이다. 이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모여 이 책을 저술하게 되었다. 일반인이나 또는 사회복지학을 배우는 학생들은 철학, 윤리, 권리와 같은 개념에 대한 이중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기는 하지만, 깊이 파고들기에는 부담스러운 이중성. 이런 이중성을 떨치게 하기 위해, 조금 더 쉽고 정확하게 정리된 글을 통하여 전문적 깊이를 더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중 하나이다.
  전체적으로 사회복지실천활동을 하는 데 있어 필요한 철학적 개념의 토대를 형성하고, 윤리적 태도를 확보하며, 권익신장을 위한 노력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더욱 쉽게 다가서고, 이해하면서 진지한 고민을 하는 것을 돕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갈 길이먼 작업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연구의 일천함과 집필의 세련되지 못함으로 인해 아직 완성된 형태일 수는 없고 지속적으로 보완할 것을 약속드린다.

 

제1부 사회복지의 철학

제1장 사회복지철학의 기본 이해
   1. 사회복지와 철학 10
   2. 철학의 의미와 분야 그리고 유용성 11
   3. 사회복지철학의 의미

제2장 사회복지와 철학사조
   1. 인본주의와 사회복지 22
   2. 자유주의와 사회복지 25
   3. 공리주의와 사회복지 26
   4. 사회주의와 사회복지 29
   5. 실존주의와 사회복지 30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가치
   1. 자 유 32
   2. 자 율 35
   3. 평 등 36
   4. 공 평 38
   5. 연대성 39

제4장 사회정의(社會正義)와 사회복지
   1.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정의론 42
   2. 플라톤(Platon)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정의론 44
   3. 자유주의의 정의론 46
   4. 사회주의 입장에서 본 정의의 의미 54
   5. 현대적 정의론 : 왈저(Walzer)와 영(Young)을 중심으로 56
   ◈ 책에 소개된 주요 철학자들 61

 

제2부 사회복지실천 윤리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80
   2.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 사회복지사 윤리강령(Code of Ethics)을 중심으로 85

제6장 윤리적 딜레마
   1. 직접적인 실천 차원에서의 갈등 94
   2. 사회복지정책 및 프로그램 차원의 갈등 98
   3. 사회복지 조직체 및 동료 사회복지사와 관련된 갈등 102
   4. 그 외 갈등들 103

제7장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1. 로웬버그(Loewenberg)와 돌고프(Dolgoff)의 일반결정 모델 110
   2. 리머(Reamer)의 의사결정 모델 112
   3. 콩그레스(Congress)의 ETHIC 모델 114
   4. 의사결정모델의 적용 116
   5. 윤리적 의사결정 시 고려사항 120

제8장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민감성
   1. 개인적 요인 131
   2. 조직적 요인 132

제3부 인권과 사회복지

제9장 인권의 기본 개념
   1. 사회복지와 인권에 대한 기본 질문 137
   2. 인권에 대한 이해 141
   3. 세대구분을 통한 인권의 이해 148
   4. 인권의 구현체계 152

 

제10장 인권 개념 발달사
   1. 서양 인권 개념사 161
   2. 한국 인권 개념사 175

제11장 인권의 실제
   1. 노인들의 인권 181
   2. 노동자들의 인권 184
   3. 장애인들의 인권 188
   4. 아동들의 인권 194
   5. 여성들의 인권 198
   6. 이주민들의 인권 201
   7. 성적 소수자들의 인권 207

제12장 인권과 사회복지의 관계
   1. 사회복지를 통한 인권의 확보 214
   2. 인권 확보를 위한 사회복지의 변화 218

   ▣ 부록 223
   ▣ 참고문헌 269
   ▣ 찾아보기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