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전국시대의 영웅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윤세주(1900∼1942년)는 독립운동가이다. 국내에서는 밀양3·13만세운동, 의열단 창립과 밀양폭탄사건, 중외일보 경영 등을 주도하였고, 중국에서는 조선혁명간부학교,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에서 핵심적 역할을 맡았다.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에 매진한 그의 열정과 용기는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그는 1914년 서울 낙원동의 오성학교(3년제 중등 과정)에 진학한 이래 교사진 중 최창식(임시정부 국무원비서장 등 역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선생은 ‘동서고금 역사 속의 위인들과 민족사 속의 충렬 인물들을 소개하고 설명하면서 이들을 모범 삼아 조국을 사랑하고 충성을 다할 것을 역설’하였다.
당시에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위인전기로서 사마천의 <사기 열전>이 있었는데, 이것은 윤세주에게 삶의 등대 같은 역사책이었다. 책의 주요 부분이 주나라의 제후국들이 전쟁을 일삼던 춘추전국시대이었고, 윤세주가 살았던 20세기 초반도 그러하였다. 강대국이 식민지 쟁탈을 위해 러일전쟁, 대한제국 멸망, 제1차 세계대전, 만주사변, 중일전쟁, 제2차 세계대전을 벌였다.
<사기 열전>은 여러 가지로 호기심을 끄는 책이다. 첫째, 주나라(기원전 1,046~256년)의 제후국들은 서로 충돌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고사성어를 남겼다. 오늘날 서양의 정치적 외교적 수사에서 고대 그리스(기원전 1,100?~146년)의 <이솝 우화>가 드물지 않게 등장하는 것처럼 동양에서는 비슷한 시기를 다룬 <사기 열전>의 고사성어가 더러 인용된다. 와신상담, 토사구팽, 오월동주, 합종연횡, 기화가거, 청출어람, 무용지용 등도 시대적 배경을 알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동양의 ‘고사’故事와 서양의 ‘우화’寓話는 상통하는 바가 많기도 하다.
둘째, 주나라를 기술하면서 중국 고대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우리 역사는 같은 시기의 고조선(~기원전 108년)을 단군·기자·위만에 대해 짧게 언급하는 수준에 그치지만 <사기 열전>은 제후·재상·학자 이외에 농민·상공업자·의사·연예인·협객·점술가 등 서민의 생생한 삶까지도 보여준다.
셋째, 주나라의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년)에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나라의 흥망성쇠를 앞두고 방황하는 모습은 나라 잃은 조선인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제후국들이 패권을 다투는 양상은 우리 기업이 세계 최고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춘추전국시대의 영웅들은 윤세주가 삶의 전환점에서 멈칫할 때마다 나아갈 바를 가르쳐 주었다. 10대 승상 감라, 자객 섭정과 형가, 개혁가 상앙은 인생의 주요 단계마다 윤세주의 우상이 되었고, 그들 영웅은 다른 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춘추전국시대의 영웅』은 지난 한 해 동안 석정石正 윤세주열사 기념사업회 소식지 <애향애국>에 연재된 것을 간추린 것이다. 김원중(2022년)의 『사기열전 1
제1장 춘추시대의 샛별 15
1. 최초의 패권국 제나라 17
제齊 환공의 포용력 18 / 안영의 귤화위지 22 / 사마양저의 출정식 27
2. 진·초나라의 각축 29
진晉 문공과 개자추 30 / 성복전투의 문공 34 / 초楚 장왕의 불비불명 35
필전투의 오삼 38 / 승자 없는 언릉전투 40 / 오자서의 망명 42
3. 오·월나라의 격돌 44
오吳 합려와 손자 44 / 백거전투의 오자서 48 / 월越 구천의 와신상담 50 /
자공의 지략과 오나라 패망 52 / 삼진분립 55 / 영원한 승자는 없다 57
제2장 전국시대의 개혁과 합종연횡 61
1. 개혁의 바람 63
위나라 서문표의 폐습타파 64 / 살처구장의 오기 66 / 제나라의 즉묵대부 70
손빈의 승전보 72 / 진나라 상앙의 변법 75
2. 합종연횡 79
소진의 합종책 80 / 원수의 맹약 87 / 장의의 연횡책 88 / 감무와 의양전투 95
3. 최강자로 가는 갈림길 97
송나라 멸망 97 / 연나라 악의와 제서전투 99 / 재기한 제나라 101 / 조나라의 버팀목 104
제3장 새로이 떠오르는 태양 111
1. 진나라의 원교근공 113
소양왕의 외척정치 114 / 범수의 원교근공책 117 / 진나라의 우방국 121 /
백기와 장평대전 124 / 평원군과 한단포위전 127 / 범수의 퇴장 133
2. 진시황의 중국 통일 134
주나라 멸망 135 / 진왕정과 여불위 136 / 한·위나라 멸망 140 /
춘신군과 초나라의 패망 142 / 조·연·제나라 멸망 144 / 진시황의 분서갱유 147
제4장 중국 고대의 사상가 149
1. 공자·맹자·순자·묵자 151
공자의 인의예지 151 / 맹자의 사단 155 / 순자의 성악설 158 / 묵자의 겸애 160
2. 노자·장자·한비 162
노자의 무위자연 162 / 장자의 무용지용 166 / 한비의 유세론 168
제5장 서민의 삶 173
1. 농민과 상공업자 175
보리·천마 175 / 철·단사·소금·비단 178 / 부자가 되는 길 180
2. 의사와 연예인 183
명의 편작 183 / 오자서를 도운 동고공 186 / 창공의 맥법 189 /
초나라의 우맹 190 / 제나라의 순우곤 192 / 진나라의 우전 194
3. 협객과 점술가 197
청포 입은 협객 197 / 점술가 사마계주와 위평 199
제6장 윤세주의 출사표 205
1. 인재는 보배 207
제후들의 인재 중시 207 / 전국사군자의 식객 210
2. 윤세주의 우상 216
10대 승상 감라 217 / 자객 섭정과 형가 222 / 개혁가 상앙 229
∎ 찾아보기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