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현장에서
프로포절 잘하는 비법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나는 이 책을 읽고 누군가 새로운 생각과 도전을 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나만의 비법을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이 책에서는 현장에서 프로그램이 성공했든 실패했든 그 결과의 중요성보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된 배경과 과정, 클라이언트들의 변화된 삶을 생생하게 이야기로, 즉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풀어 써보려고 한다.
제목을 정하는 과정에서 ‘비법’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비법을 사전적인 의미로 쉽게 표현하자면 마치 소문난 맛집에서 요리사가 레시피를 공개하지 않고 한 가지의 숨겨진 맛의 비밀을 대대로 이어가기 위해서 그 숨겨진 비밀을 후계자에게 아낌없이 전수해야만 하는 것처럼 저자도 전수자의 심정으로 현장에서의 경험을 전부 공개해 보려고 한다.
특히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예비사회복지사들이나 노인복지현장에서 처음 근무하는 초임사회복지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책이 되었으면 한다. 어쩌면 중간관리자 이상 과장님, 부장님들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될 수도 있겠다. 그리고 노인복지가 아니더라도 다른 분야의 사회복지서비스에도 충분히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제1장 첫 직장을 바라본 나의 시각
1. 님비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주민과의 만남 15
2. 사랑으로 하나 되는 한마음 나눔 잔치 21
3. 지역주민과 화합의 연결고리가 된 신나는 예술여행 25
4. 소셜 미디어의 힘 28
제2장 나에게 프로포절이란
1. 클라이언트의 환경을 이해하라 36
2. 환경의 변화가 시작되다 41
3. 아주 특별한 온라인 후원자를 만나다 47
4. 사회적 이슈에 맞는 스토리를 생산하라 51
제3장 스토리텔링 프로포절 작성기법
1.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잘 갖추라 65
2. 생애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여행 70
3. 사회복지사의 빅 픽처 84
4. 어르신들의 체험 활동 나들이 프로그램 93
제4장 프로그램 중심 프로포절 이야기
1. 나의 사회복지 가치와 철학 105
2. 올바른 자원봉사 콘택트와 역할에 맞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라 109
3. 사회통합 1-3세대 조손 교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다 113
4. 팬데믹 시대에 프로그램의 변화를 경험하다 120
5. 코로나19라고 만날 수 없는 건 아니잖아요? 125
6. 시설의 자투리 공간을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다 130
7. 좋은 프로그램으로 인정받고 지원을 약속받다 138
8. ‘나도, 도시농부!’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다 146
9. 우리들의 빛난 무대 162
제5장 기능보강 중심 프로포절 이야기
1. 언니! 크리스마스 때는 정말 선물이 올까? 172
2. 이 엄동설한에 왜 보일러가 고장인지! 181
3. 심야보일러 철거 및 보일러 교체사업 188
4. 코로나19로 지친 어르신, 공기청정살균기가 필요해요 198
5. 어르신들은 맨바닥보다는 교육 테이블과 의자가 필요해요 205
6. 폭설이 내리는 밤, 하필 시설에 보일러가 큰 고장이네요 210
제6장 사회복지현장에서 프로포절 잘하는 비법
1. 현장에서 프로포절의 명분을 찾아라 217
2. 관찰력을 키워 글로 잘 표현하라 219
3. 프로포절은 남들보다 더 성심껏 돋보일 수 있게 써라 222
마무리하며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