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신간
강의자료
ebook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4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국가나 사회가 모든 국민에 대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현재 또는 미래에도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실천이라는 것은 시대와 사회, 문화의 가치관과 윤리관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며 지속되어 왔으며, 이는 무엇보다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이 되는 국민들의 욕구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사는 변모하는 대상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사회복지의 가치와 정의 실천 외에도 일선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 구체적인 행동기술의 함양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 부분이 바로 사회복지실천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지속적인 IT기술의 발전 등으로 지식정보화 시대는 빠른 문화의 변화와 환경적 변화는 물론 새로운 형태의 개인과 집단, 지역사회 갈등구조의 생성 및 개인별 다양성의 증대에 따른 복지욕구의 복잡․다양화 등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회복지전문가로서 지녀야 할 여러 가지 실천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교재에서는 이러한 사회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지식과 사회적 욕구에 부응하며, 사회복지교재편찬위원회의 전반적인 교육적 요구에 부합하는 내용들을 기본으로 저술하였다.

  전체 12장으로 저술한 이 책의 구성을 보면 제1장과 제2장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초이론 및 기술로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가치와 윤리, 면담과정에서의 기술 등을 다루었으며, 제3장부터 제6장은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위한 모델로 정신역동·심리사회·행동수정·인지행동·문제해결·과제중심·위기개입·클라이언트중심·권한부여 모델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7장부터 제10장은 개별·가족·집단 및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복지실천기술들을 다루었으며, 제11장과 제12장은 사회복지실천 기록기술과 사회복지사의 자기관리기술 등을 논하였다.

  특히 각 장마다 중요하고 핵심적인 키 포인트(key point)를 선정하여 요점을 이해하기 쉽게 비교․설명함으로써 학습에 필요한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초 이론

  제1절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15

  제2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특성과 분류 21

  제3절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24

  ✤key point(요점정리) 31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기술

  제1절 사회복지실천 기초 기술의 이해 35

  제2절 면담의 기술 36

  제3절 관계형성기술 51

  ✤key point(요점정리) 59


Chapter 0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정신역동·심리사회 모델

  제1절 정신역동모델 63

  제2절 심리사회모델 80

  ✤key point(요점정리) 89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행동수정·인지행동 모델

  제1절 행동수정모델 93

  제2절 인지행동모델 105

  ✤key point(요점정리) 118


Chapter 05 통합적 방법에 의한 모델 문제해결·과제중심 모델

  제1절 문제해결모델 123

  제2절 과제중심모델 131

  ✤key point(요점정리) 141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위기개입·클라이언트중심·권한부여 모델

  제1절 위기개입모델 145

  제2절 클라이언트중심모델 155

  제3절 권한부여모델 162

  ✤key point(요점정리) 166


Chapter 07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171

  제2절 준비단계:접수 173

  제3절 초기단계:자료수집, 사정, 계획수립 176

  제4절 중간단계:개입단계 182

  제5절 종결단계: 종결 및 평가 183

  ✤key point(요점정리) 184


Chapter 08 가족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가족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189

  제2절 준비단계 191

  제3절 초기단계 192

  제4절 중간단계 201

  제5절 종결단계 208

  ✤key point(요점정리) 209


Chapter 09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213

  제2절 준비단계 224

  제3절 초기단계 229

  제4절 중간단계 235

  ✤key point(요점정리) 237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241

  제2절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실천 개입과정과 기술 250

 ✤key point(요점정리) 257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의 기록기술

  제1절 기록기술의 이해 261

  제2절 기록기술의 기본 원칙 및 지침 265

  제3절 기록기술의 내용 268

  제4절 사회복지실천 기록 유형 272

  제5절 클라이언트의 사적 권리 281

  ✤key point(요점정리) 283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가의 자기관리기술

  제1절 자기개발의 이해 287

  제2절 스트레스 관리 291

  제3절 슈퍼비전 298

  ✤key point(요점정리) 305


참고문헌 307

■찾아보기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