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신간
강의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제5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 지역사회라는 환경에 속하게 되며, 일상생활에서 가장 친밀하게 그러한 환경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규범과 가 치를 형성하며 살아가게 된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공동체가 무너지고, 개인과 집단이 극단적으로 이익 을 추구하는 현실사회에서 지역사회복지는 ‘전체로서의 지역사회복지’에 기반하여 보편주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상부상조의 정신을 바탕 으로 공통의 관심이나 이익을 추구하도록 하여 지역성과 공동체 의식의 회 복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장 지역사회의 이해

  제1절 지역사회의 개념 13

  제2절 지역사회조직 21

  제3절 거버넌스와 역할분담이론 24

  ■ KEY POINT 27


제2장 지역사회복지운동

  제1절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33

  제2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 35

  제3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특성 36

  제4절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와 유형 38

  제5절 주민참여와 지역사회복지운동 44

  ■ KEY POINT 50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제1절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5

  제2절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9

  제3절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63

  ■ KEY POINT 71


제4장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소

  제1절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소의 개념 77

  제2절 욕 구 78

  제3절 자 원 84

  제4절 전달체계 88

  제5절 사회복지사 91

  ■ KEY POINT 105


제5장 지방자치제도와 복지재정분권

  제1절 지방자치제도의 개념 111

  제2절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발달과정 113

  제3절 지방자치단체(지방정부) 115

  제4절 지방자치단체 업무의 주요 요소 118

  제5절 지역복지분야의 재정분권화 120

  ■ KEY POINT 125


제6장 지역사회복지정책의 실제

  제1절 사회보험 132

  제2절 공공부조 145

  제3절 사회서비스 158

  ■ KEY POINT 160


제7장 지역사회복지의 분석이론 및 실천모델

  제1절 사회체계이론 165

  제2절 생태체계이론 167

  제3절 갈등이론 170

  제4절 지역사회 권력구조이론 172

  제5절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176

  ■ KEY POINT 185


제8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술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91

  제2절 조직화 기술 192

  제3절 자원 동원· 개발의 기술 198

  제4절 옹호의 기술 205

  제5절 임파워먼트(Empowerment)의 기술 207

  ■ KEY POINT 209


제9장 재가복지

  제1절 재가복지의 개념 215

  제2절 재가복지의 등장과 시설복지 216

  제3절 재가복지서비스의 구성과 원칙 220

  제4절 재가복지사업 222

  제5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26

  ■ KEY POINT 235


제10장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1절 사회복지협의회 239

  제2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44

  제3절 지역사회보장계획 255

  ■ KEY POINT 260


제11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원봉사센터

  제1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65

  제2절 자원봉사센터 277

  ■ KEY POINT 285


제12장 지역사회복지 실천기관 및 평가

  제1절 사회복지관 291

  제2절 지역자활센터 297

  제3절 가족센터 301

  제4절 평 가 305

  ■ KEY POINT 310


■ 참고문헌 314

■ 찾아보기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