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신간
강의자료
ebook

가족생활교육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가족생활교육은 20세기 초 미국을 중심으로 결혼과 가족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는 1982년에 제정·공포된 사회교육법에 가족생활교육 영역이 사회교육의 한 부분으로 명시되면서 초기 제도화가 이루어졌다. 본격적인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은 가족학 분야가 주축이 되어서 1990년대 초반부터 다수 개발,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다양한 주제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시하면서 가족생활교육은 가족문제 예방, 가족 구성원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여러 연구결과들을 통해 발표되고 있다.

  지금은 ‘새로운 가족’이 오고 있는 시대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출현하면서 ‘가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은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고, 지금은 다양성에 대한 포용성과 융통성을 지녀야 하는 시기이다. 또한 가족은 변화의 역동 속에서 가족 가치의 혼란, 가족 기능의 약화, 가족 관계에서의 갈등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 가족 안에서의 어려움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올바른 가족문화의 정립, 가족 기능 강화 및 회복의 필요성, 스트레스와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방법과 인간관계 기술의 습득 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우리에게는 가족이라는 말이 누구에게나 따스함을 주고 정겨움으로 다가오지는 않는다는 슬픈 현실이 있지만, 모든 가족들이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고, 가족이라는 말이 우리에게 힘과 용기를 주고 사랑의 울타리를 만들어 준다고 생각하게 될 때까지 가족생활교육의 사명은 계속될 것이다.

앞으로 가족생활교육은 개인과 가족의 행복과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가 되어야 한다. 가족이 행복하면 세상이 행복해지기 때문이다. 가족이 나아가는 길에 ‘가족생활교육’이 등을 밀어 힘을 실어주고 지지, 격려해 줄 것이다. 이제 가족생활교육은 가족과 함께 걸어가는 동반자이다.

  가족생활교육과 함께하는 가족은 이 세상에서 가장 멋진 가족 사랑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이 세상은 살 만한 따뜻한 세상이라는 새로운 인식을 하길 바란다.

 

PART 1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Chapter 01 가족생활교육 알고 보자 13

  1. 가족생활교육, 왜 이걸 배우지? 13

  2. 가족생활교육이란 무엇일까? 17

  3. 가족생활교육, 왜 하는가? 24

  4. 가족생활교육은 어떤 내용인가? 26

  5. 가족생활교육의 운영원칙은 무엇인가? 32


Chapter 02 가족생활교육의 나침반 37

  1. 익숙한, 그러나 잘 모르는 가족 37

  2. 가족 안에서의 관계들 52

  3. 세상 모든 가족과 함께 65

  4. 건강한 가족을 찾아서 67


PART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 기획부터 실천까지의 완벽 가이드


Chapter 0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역량 75

  1. 프로그램의 기본과 핵심 : 정의에서 유형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75

  2. 프로그램 개발모형 83

  3. 프로그램 요구분석 89


Chapter 0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107

  1. 성공하는 팀의 비밀 : 창의적 팀 빌딩과 협력의 기술 107

  2. 잠자는 기획력 깨우기 : 프로그램 기획 115

  3. 프로그램 설계 118


Chapter 05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홍보의 귀재 되기 149

  1. 프로그램을 알린다는 것은? 149

  2. 프로그램 홍보의 의의 151

  3. 시선을 사로잡는 홍보 내용 및 문구 작성하기 151

  4. 홍보지 작성하기 155

  5. 효과적인 홍보매체 선정하기 157


Chapter 06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행 173

  1. 프로그램 실행 계획 수립 173

  2. 프로그램 실행 지도 원리 175

  3. 프로그램 실행의 단계 178

  4. 다양한 실행방법의 필요성 192

  5. 다양한 실행방법의 유형 194

  6. 프로그램 실행 시 유의할 점 205

  7. 가족생활교육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들 205


Chapter 07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 209

  1.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및 목적 209

  2. 프로그램 평가 시 고려되어야 할 점 210

  3. 프로그램 평가의 내용 212

  4. 프로그램 평가 모형 213

  5. 프로그램 평가 유형 217

  6. 평가의 절차 221


PART 3 집단 활동 기법과 프로그램 사례


Chapter 08 집단 활동 기법 227

  1. 가족생활교육에서의 집단 활동 227

  2. 가족생활교육 도입 단계의 집단 활동 기법 229

  3. 가족생활교육 전개 단계의 집단 활동 기법 236

  4. 가족생활교육 종결 단계의 집단 활동 기법 248


Chapter 09 프로그램 시연 253

  1. 프로그램 매뉴얼 사례 254

  2. 시연 PPT 사례 265

  3. 패들렛을 활용한 피드백 271


Chapter 10 우리들의 빛나는 프로그램 275

  1. 공모전 수상 프로그램들 275

  2.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292

  3. 부부교육 프로그램 297

  4. 부모교육 프로그램 304

  5. 중년기 가족 교육 프로그램 310

  6. 은퇴기 가족 교육 프로그램 316

  7. 다문화 가족 교육 프로그램 324


■ 부 록 331

■ 참고문헌 346

■ 찾아보기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