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과 놀이에 기반한
영아중심의 발현적 보육과정 [제2판]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0~2세) 실행을 위한
강의자료
구매하기
장바구니
초판 발행 이후 변화된 환경, 특히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0~2세)을 참고하고, 저자 자신의 신물질론, 관계적 존재론, 세상 속에서 얽힌 존재로서 자신, 영아, 일상, 놀이, 영아보육과정에 대한 철학적 관점과 이해의 변화를 토대로, 독자의 이해를 위해 쉽게 풀이할 수 있는 선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개정 작업에 임했다.
제2판의 주요 개정 내용을 소개하면, 제1장에서는 영아, 영아 양육, 영아 교(보)육에 대한 사회적 변화를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영아에 대한 존재론적 관점을 관계적 존재론까지 확장하여 기술하였다. 영아보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이해하기 쉽지 않은 철학 내용까지 알아야 할까? 하는 의구심을 가질 수 있지만, 영아를 바라보는 관점은 영유아 교(보)육의 중요한 출발점이기에, 그러나 본 서의 독자 대부분이 영유아 교육자이고 저자 자신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인지라, 영유아 교육자에게 꼭 필요하고 저자가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수준에서 기술하려 노력했다. 결과적으로 추가되거나 변경된 내용은 많지 않지만, 고민 속에 썼다 지우기를 여러 번 반복했다. 제3~8장에서는 내용 전달의 명료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수정·보완하였다. 제3장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 발달에 수록되었던 교사와 양육자의 역할과 제8장의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에 관련된 내용은 제9장으로 이동하여 기존 내용과 통합하여 재정리하였다.
제1장 영아보육의 필요성 19
1. 영아 차원 19
2. 영아 외부 차원 20
3. 영아 양육 지원책으로서 보육 22
제2장 영아보육과정의 방향 29
1. 영아를 자신의 삶을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실존적, 관계적 존재로 바라보고 존중하기 29
2. 영아에게서 출발하는 보육과정 실천하기 35
3. 관찰·성찰·지원이 순환적으로 이어지는 발현적 보육과정 실행하기 45
4. 영아의 자유로운 삶을 위한 시간과 공간이 되도록 일과와 환경 구성하기 50
5. 일상을 놀이와 교육의 기회로 삼기 53
제3장 영아의 발달 특성 57
1. 신체 발달 57
2. 인지 발달 69
3. 언어 발달 85
4. 사회성 발달 99
5. 정서 발달 112
제4장 일상과 놀이에 기반한 영아중심의 발현적 보육과정의 실행 127
1. 관찰과 기록하기 128
2. 성찰하기 142
3. 의사결정과 준비하기 143
4. 실행하기 145
5. 흘러가게 지켜보기 148
제5장 보육 실행 기록하기 165
1. 보육 계획과 평가 기록하기 165
2. 놀이 이야기 187
3. 영아 평가(관찰 기록) 198
제6장 환경구성 215
1. 실내 환경구성 215
2. 실외 환경구성 230
제7장 일상생활 지원 237
1. 등원 및 맞이하기 237
2. 식사와 간식 243
3. 낮잠과 휴식 253
4. 기저귀 갈기와 화장실 가기 257
5. 청 결 263
6. 정리정돈 266
7. 하원하기 267
제8장 탐색과 놀이 지원 273
1. 탐색과 놀이 참여 맥락을 고려한 지원 273
2. 신체 놀이 279
3. 언어 및 책보기 놀이 287
4. 감각·탐색 놀이 296
5. 역할 놀이 305
6. 쌓기 놀이 314
7. 미술 놀이 317
8. 음악 놀이 324
9. 바깥놀이와 나들이 330
10. 전이 및 소집단 활동 335
제9장 심리적 지원 339
1. 어린이집 적응 돕기 339
2. 자기 이해 돕기 344
3. 타인과의 관계 형성 돕기 348
4. 정서 이해 돕기 353
5. 거친 행동 지도하기 355
부록
1.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0~2세) 365
2.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제 374
참고문헌 387